[진행 완료] 2017 부산 & KSCRC 퀴어 아카데미
연도 2009 
형식 퀴어 아카데미 

2009년부터 성적소수자 인권활동가들과 관련 연구자, 그리고 인권과 퀴어 이론 등에 관심이 있는 시민들의 “생각나눔, 지식나눔, 배움나눔”의 장으로 자리매김 해 온 〈KSCRC 퀴어 아카데미〉. 하지만 그동안 서울에서만 열린다는 지리적 한계로 더 많은 분들과 함께 하지 못했습니다. 이런 아쉬움이 너무 커서 올 여름에 뜨거운 반응을 얻었던 ‘KSCRC 퀴어 아카데미’가 지역 순회가 가능한 형태로 재기획되어 부산으로 갑니다.

부산의 연구모임인 “아프꼼”, 부산성소수자인권모임 “Queer In Pusan”과 공동주최로 “부산&KSCRC 퀴어 아카데미”가 2017년 1월 14일(토)과 15일(일)에 이틀간 열립니다. 퀴어 이론의 입문 과정부터 성적소수자 운동의 역사, 최근의 논쟁과 이슈까지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꾸몄습니다.

 

2017년 1월 14일 토요일 강좌 

‘퀴어’가 뭔가요?

1강 트랜스/젠더/퀴어 이론 입문 (오후 1시~2시 40분)_루인(트랜스/젠더/퀴어연구소, 한국퀴어아카이브 퀴어락)

‘트랜스’, ‘젠더’, ‘퀴어’…자주 사용되지만 알 듯 모를 듯한 퀴어이론의 개념과 용어를 살펴봅니다.
 
이성애 사회의 대안, 레즈비언이라는 연대

2강 “성의 변증법”과 “강제적 이성애”를 다시 읽기 (오후 2시 50분~4시 30분)_권김현영 (성공회대 강사)

이 강의에서는 강제적 이성애를 구성하는 친족/로맨스 문화/재현의 문제들에 천착했던 급진적 페미니스트들의 질문을 재구성해 봅니다.
 
남성간 성적 거래와 역사

3강 게이 커뮤니티 속 남성 간 성적 거래 (오후 4시 40분~6시 20분)_마쯔(완전변태)

게이 커뮤니티 형성 초기부터 이루어져왔다고 생각되는 남성 간 성적 거래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살펴봅니다. 이를 통해 남성 성판매자가 무엇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들이 수행하는 성적 거래가 갖고 있는 의미에 대해 설명합니다.
 

2017년 1월 15일 일요일 강좌

보수 개신교회의 반퀴어 운동

4강 보수 개신교회의 반퀴어 운동 ABCD (오후 2시~3시 40분)_시우(문화연구자)

현재 반퀴어 운동이 펼쳐지는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신교회의 구조적 위기에 주목해야 합니다. 반퀴어 운동이 일종의 교회개혁 운동으로 전개되는 과정을 살펴봅시다.
 
동성 결혼은 법이 필요한 문제인가?

5강 동성 결혼 법제화의 역사와 논쟁 (오후 3시 50분~ 5시 30분)_한채윤(비온뒤무지개재단 상임이사)

이 강의에서는 한국 동성 결혼의 미래를 가늠하기 위해 세계 동성 결혼 법제화의 역사를 연대기적 차원에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어떤 준비와 논쟁이 필요한지를 찾아보고자 합니다.

퀴어아카데미2017_부산.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