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 완료] 2017 부산 & KSCRC 퀴어 아카데미
연도 | 2009 |
---|---|
형식 | 퀴어 아카데미 |
‘트랜스’, ‘젠더’, ‘퀴어’…자주 사용되지만 알 듯 모를 듯한 퀴어이론의 개념과 용어를 살펴봅니다.
이 강의에서는 강제적 이성애를 구성하는 친족/로맨스 문화/재현의 문제들에 천착했던 급진적 페미니스트들의 질문을 재구성해 봅니다.
게이 커뮤니티 형성 초기부터 이루어져왔다고 생각되는 남성 간 성적 거래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살펴봅니다. 이를 통해 남성 성판매자가 무엇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들이 수행하는 성적 거래가 갖고 있는 의미에 대해 설명합니다.
현재 반퀴어 운동이 펼쳐지는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신교회의 구조적 위기에 주목해야 합니다. 반퀴어 운동이 일종의 교회개혁 운동으로 전개되는 과정을 살펴봅시다.
이 강의에서는 한국 동성 결혼의 미래를 가늠하기 위해 세계 동성 결혼 법제화의 역사를 연대기적 차원에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어떤 준비와 논쟁이 필요한지를 찾아보고자 합니다.